교통혼잡료 시행으로 출퇴근 편해졌다
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두 달이라는 시간이 흘렀다. 효과가 있었을까. 11일 지역계획협회(Regional Plan Association)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,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뉴욕 일원 출·퇴근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. 지역별로 보면, 뉴저지 거주자들의 통근 속도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. 뉴저지에서 맨해튼 중심상업지구(CBD)로 출·퇴근하는 운전자들은 편도 통근 시간이 최소 5분에서 최대 21분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. 퀸즈의 경우 최소 7분에서 최대 13분, ▶롱아일랜드는 최소 7분에서 최대 13분 ▶브루클린은 최소 3분에서 최대 7분 ▶스태튼아일랜드는 최소 3분에서 최대 7분 ▶CBD 거주자는 평균 2분 ▶CBD 외 맨해튼 거주자·브롱스 등 거주자들은 출·퇴근 시간이 평균 1분 빨라진 것으로 분석됐다.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(MTA) 데이터에 따르면, 교통혼잡료 시행이 시작된 지난 1월 링컨터널의 평균 통과 시간은 시행 이전 대비 17% 감소했고 홀랜드 터널의 경우 48%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.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교통혼잡료 시작 이후 통근 시간 단축을 경험했을까. 자차·버스를 포함해 차량을 이용해 맨해튼 CBD까지 출·퇴근하는 인구는 뉴저지에 가장 많았다. 뉴저지에서는 약 8만1000명(자차 3만2000명·버스 4만9000명)이 차량을 이용해 CBD로 통근했고, ▶퀸즈 약 5만4000명(자차 3만4000명·버스 2만명) ▶브루클린 약 4만명(자차 2만4000명·버스 1만6000명) ▶허드슨밸리 약 3만5000명(자차 3만명·버스 5000명) ▶브롱스 3만2000명(자차 1만7000명·버스 1만5000명) ▶CBD 외 맨해튼 거주자 약 2만5000명(자차 9000명·버스 1만5000명) ▶롱아일랜드 약 2만1000명(자차 1만6000명·버스 5000명) 등이었다.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게 “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”고 지시했고, MTA는 숀 더피 교통부 장관과 연방고속도로청(FHA) 등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. 윤지혜 기자 [email protected]교통혼잡료 출퇴근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시작 맨해튼 거주자